• 게임명 : There is no Game Wrong Dimension
  • 제작/배급사 : Draw me a Pixel
  • 언어 지원 : 한국어 O
  • 가격 : \13,500원
  • 분류 : 포인트 앤 클릭 퍼즐
  • 플레이 시간 : 약 4시간
  • 출시일 : 2020년 8월 7일

게임 소개

"이것은 게임이 아닙니다!"

 

시작과 동시에 당신이 마주하는것은 공연무대의 장막이다. 우리의 게임 진행자 "GAME"은 목소리만으로 이곳에 게임은 없으니, 돌아가라는 말을 남기지만, 호기심 많은 당신은 게임의 여러군데를 돌아다니며 "플레이 버튼"을 찾아낸다. 바로 그렇게 "GAME"과 실랑이를 하던 도중, 게임의 버그인 Mr.Glitch(글리치 씨)를 마주하게 되고, 그는 "사악한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서 "GAME"과 "유저"(플레이어)를 방해한다. 게임도중 마주치는 Ms.GG와 개발작인 크리에이터까지 그들과 힘을 합쳐서 "GAME"의 의도된 버그인 "Glitch"로 부터 세상을 구하는 "게임 아닌 게임" There is no game이다.

 

특징

게임은 Point&Click 방식이다. 어떤 부류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예전 인터넷의 "아이탈출"이나 공포게임 "프란체스카"(정식명칭 : The House)를 생각하면 될 것같다. 다만 어딘가 나사빠진 진행으로 인해서 5막에서 마지막으롤 가는 6막까지 과연 이 "게임"이 어떻게 마무리되는것인가가 궁금해지는 게임이다. 

 

많은 게임을 플레이해본 사람들은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게임을 "찾아나서"는 "게임"그 자체에 대한 "게임"(말도 어렵다)이기에, 다른 게임들의 오마주가 많이 나온다. 왼쪽사진으로 보이는 것은 젤다의 전설 패러디로, 한번깬 이후의 DLC로 나오는 버전은 현대 모바일게임인 클리커류의 무료게임을 비판하는 풍자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제4의 벽을 시작부터 부수는 메타게임으로 신선한 게임경험을 느끼고 싶은 "무료한" 플레이어라면 강렬하게 추천한다. 다만 4시간이 넘는 플레이시간동안 Point&Click방식의 퍼즐을 한다는것은 의외로 게임이 루즈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니, 이점양해하면서 3~4막으로 넘어갈 때 한번 쉬고 플레이하자.

 

* 이 게임은 원작 There is no game의 후속편이다. 원작은 플레이 시간이 길지 않으니, 시간적 여유가 된다면 앞편을 플레이해보자


추천점수 : ★★★★★★☆ (8/10점)

 

"이것은 평가가 아닙니다! 아니, 이곳에 평가는 없습니다."

  • 게임명 : A Juggler's Tale
  • 제작/배급사 : Kaleidoscube
  • 언어 지원 : 한국어 O
  • 가격 : \18.500원
  • 분류 : 퍼즐
  • 플레이 시간 : 약 2시간
  • 출시일 : 2021년 9월 30일

게임 소개

A Juggler's Tale은 눈덮인 산장에서의 인형사 잭이 들려주는 불쌍한 소녀의 이야기 '애비'의 이야기이다. 그녀는 서커스 곡예단의 일원이지만, 철장에 같혀 밥도 못먹고 지내는 등의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다. 더이상 이런 대우를 참을 수 없던 주인공 '애비'는 자신과 같이 공연하는 곰 '우르스'의 도움을 받아 서커스 장막에서 탈출하게 되지만, 재능있고 인기많은 그녀를 놓치기 싫은 서커스단장은 도적단의 두목인 '톤다'에게 애비를 데려올 것을 의뢰하고, 애비는 자신을 조종하는 실의 구속을 끊고 '톤다'에게 도망치면 인형사 '잭'이 만든 이세계를 파괴하기 시작한다.

 

특징(* 스포일러 포함)

모든 캐릭터들은 '실'이 달려있다. 이 점이 매우매우 중요하다.(바로 아래 사진처럼말이다.)

우리가 실로 조종을 당한다면 어떨까? 내위에 무엇이 있다면 지나갈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캐릭터가 절벽아래로 떨어지거나, 물가로 들어갈거 같은경우 조종사가 우리의 몸 '컨트롤'을 가질 것이다. 게임 'A Juggler's Tale'은 이런 부분의 표현이 정교하고, 이를 이용한 퍼즐을 잘 꾸며놓은 게임이다. 우리는 '애비'의 입장으로 그녀를 구속하던 '실'을 끊고 '자유의지'를 가져 더이상 타인이 자신을 조종하지 못하게 한다.('애비'의 줄이 끊어지면서 다음 장으로 이야기는 넘어간다. 이야기의 막이 바뀔 때마다 이야기 서술자인 잭은 인형극의 장막을 덮었다가 배경을 바꾸면서 펼친다. '줄'이 끊어지면서 다음 장으로 넘어갈떄에 '잭'의 나레이션이 버벅되는것은 더이상 스토리의 갈래를 본인이 서술할 수 없게 되었기 떄문인데, 사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잭'의 목소리가 떨리는것을 듣게되면, 게임이 이야기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게된다.) 모든 요소가 원하는대로 돌아가지 않는 애비에게도 세상은 따뜻했으며 모든 세상이 '잭'의 의지대로 돌아가고 있다는것은 게임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장에서 밝혀지는데, 마음 따뜻해지는 엔딩을 볼 수 있다. 

 

필자의 게인적인 생각인데, 막이 바뀔 때 닫히는 장막의 기호는 서커스단의 기호와 같다. 우연이라면 우연일 수 있겠지만, 어쩌면 이야기 서술자인 '잭'은 '애비'가 줄을 끊는 것또한 본인의 스토리로 꾸며놓은 사람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든다.


추천점수 : ★★★★★★☆ (9/10점)

 

"짧은 플레이 시간의 퍼즐게임, '실'이라는 기믹을 이용한 신박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