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 일일까. 평소에 한국에서 야구 경기도 안보는 내가 무슨 바람이 들어선 지, 미국에서는 농구 경기도 봤고 오늘은 풋보령 기를 보러 간다. 오늘 경기인 워싱턴 풋볼팀의 홈경기, 그들의 홈구장인 Fedex stadium으로 출발했다. 미국인들의 풋볼 열기는 어마어마하다. 경기시작 1시간 전에 도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9만 석의 자리 만석을 예고하듯, 들어가는 길목에서 3마일 이동에 30분 이상이 소모되었다. 경기 결과는 마지막 4 쿼터의 터치다운으로 굳히기 승리를 거두어낸 워싱턴의 27 : 16 승리였다.(희한하게 이번 리그 27위인 워싱턴팀이 저번 시즌 우승자인 팀을 이겼다. 마치 마지막 미국 여행을 즐기고 있는 나를 위한 선물 같았다.)
-5주 차 교육-
매일 아침 '아 가기 싫다'라는 생각이 들어 교육기관도 마지막이다. 미운 정이 들어서인지, 앞에 앉아계시는 헬프데스크 행정 담당하고도 많은 대화를 나누고 뭐 그랬다. 교육기관의 마지막 과목은 RMF였다. NIST에서 많든 미 국방부의 사이버 위험관리 프레임워크인데, 미국 규정이라 그런지 자격 취득 한국인이 1명밖에 없다. 시험은 바우처를 없지만, 자비로 한번 보려고 한다. 미국에서 아낀 돈, 스펙 향상에 활용하자.
아마 미국 버지니아에 관련된 여행기를 올리는것은 오늘로 마지막이 되지 않을까 싶다. 글을 작성하는 지금은 21년 11월 19일, 내일 아침 6시에 도착했던 로날드 레이건 공항에서 인천으로의 비행기가 나를 기다리고 있다. 즐거웠다 아메리카.
Washington과 버지니아에 똑같은 풍경과 일상에 살짝 지루하던 찰나, 3주 차 교육 선생님께서 기왕 미국에 왔으니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뉴욕에 가보는 건 어떤가라는 제안을 하셨다. 안 그래도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던 차에 듣던 중 반가운 소리였고, 3주 차 교육의 토요일 21년 11월 6일 뉴욕으로의 여행 계획을 짰다.
- 뉴욕과 자유의 여신상-
내가사는곳부터 뉴욕은 자동차로 4시간 정도 걸린다. 에어비앤비 숙소 값, 뉴욕의 호텔값 등을 고려해서 당일치기 여행을 계획하였고, 6일 새벽 5시에 자동차 시동을 걸었다.
<완전새까만 하늘이다. 버지니아의 새벽은 어둡다.>
뉴욕 여행의 목표는 두 가지 1. 자유의 여신상 2. 타임스퀘어 2가지이다. 자유의 여신상을 만나러 가는 길, 이 46M의 거대한 동상은 내륙이 아니라 섬에 존재한다. 사전에 선상 티켓을 구매하고(10시에 자유의 여신상으로 가는 배를 구매한 거다 인터넷으로 예매했는데, 굳이 예매 안 해도 현장에서 살 수 있다. 물론 관람범위가 제한된다.) 10시까지 도착하는 것이 목표였기에 헤맬 것까지 고려해서 1시간 여유를 두고 출발한 건데, 완전 미스였다. 딱 1시간 먼저 도착해서 주변의 풍경을 찍었다. 자유의 여신상으로 갈 수 있는 배는 뉴욕 공원과 뉴저지 공원 두 군데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뉴저지 공원으로 갔었다.
<영화같은 디자인의 티켓판매소와 저멀리 보이는 뉴욕의 모습 별로 감흥은 없더라>
배를 타는곳은 공항 입국심사와 비슷한 수준의 보안검색이 있었다.(저번에 스미소니언 박물관도 그러더니, 미국은 보안검색이 빡빡한 나라 같다.) 배는 10시 40분이 돼서야 모습을 드러내었고, 자유의 여신상을 드디어 만나러 출발했다.
배는 자유의 여신상이 있는 Liberty Island로 직항하지 않았고, 이민자 박물관이 있는 또 다른 섬을 거쳤다가 자유의 여신상으로 향하였다. 이민자 박물관은 방문하지 않았고, 일정상 자유의 여신상만 방문했다. 소감은 뭐; 다시 가라면 안 간다. 그곳에는 한국어를 포함한 다개국어 관광해설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누어주는 등, 미국의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었지만, 지루하다. 섬도 크지 않고, 그냥 동상이구나 싶었다. 설명 듣고 사진 찍고 관광객다운 쇼핑을 조금 한 다음 배로 돌아왔다.
- 점심식사와 타임스퀘어-
배에서 내리니 시계가 벌써 1시를 넘기고 있었다. 이제 점심을 먹을 시간이 되어서 뉴저지안의 치킨을 파는 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했다. 10조각과 바질 샐러드, 콜라를 시켜서 배 터지게 먹었다.
<점심식사를 한 뉴저지 식당과 바로 바깥 강아지 전용이라고 써있던 물그릇 신기해서 찍어보았다.>
타임스퀘어로 가는 길은 험난했다. Holland Tunnel이라는 곳을 지나가는데 3마일 가량되는 도로를 지나가려면 19$의 통행료를 내어야 했다.
타임스퀘어로 들어가는 도로가 몇 개 없다 보니, 차량도 많았다. 6마일(약 10km) 가량을 움직이는데, 1시간이 소요되었다. 들어선 타임스퀘어는 멋졌다. 티브이에서 자주 보던 뉴욕의 큰 광고판들이 도심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었다.
<뉴욕 도심의 한복판, 정신나갈정도의 많은 인파와 정신나갈정도의 광고가 한눈들어왔다.>
타임스퀘어 광고 중에 눈에 들어왔던 건 역시 한국 브랜드 광고였다. 저번 빅버스투어의 ZFlip광고를 보고 '아 미국에 한국 제품이 많이 인기가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거 말고도 타임스퀘어 가장 큰 광고판에 LG와 삼성의 광고가 전시되는 것을 보고 '인기가 있구나'보다는 '미국 사람들도 이 제품군에 의존하는구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미국에 대한 환상이 조금 벗겨졌다.(사실 이건 도착해서 수많은 한국/일본 자동차를 보면서 생각을 끝냈었다.)
돌아오는 길, 5시에 타임스퀘어를 등지고 떠났지만 들어올 때 겪었던 교통체증이 아예 가시지는 않았었다. 어느샌가 어두워진 창밖의 풍경이 익숙해질때즘 9시에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버거킹을 들렸다. 한국에서 패스트푸드를 참 좋아해서 많이 다녔던 햄버거 집인데, 본토의 맛은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으나;; 별로였다. 역시 한국인 입맛에는 별로 어울리지 않은 간과 재료였다.
- 4주 차 수업 -
4주차 수업은 PMP였다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는 유명한 자격이라 흥미가 있었으나, 수업 내내 정보보안 쪽 이야기는 없다 보니, 시험을 조금 뒤로 생각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결론적으로 이 미국에서 4개의 자격증을 딸 생각이었으나, 1개는 따고 1개는 떨어지고 2개는(ISSMP / PMP)는 자격검증기간의 문제로 귀국해서 시험을 보게 되었다. 이제 1주의 미국 생활이 남아있다. 재미있는 일이 또 벌어지기를 가만히 앉아있는다고 벌어지지는 않지만 기대해본다.
미국에서의 나날이 이제 2주밖에 남지 않았다. 3주 차 교육은 ISC2라는 기관의 CISSP-ISSMP라는 자격인데, 한국에 2명밖에 없다더라 희소성과 가치를 떠나서 바우처를 받았으니 우선은 시험을 봐야겠다. 난이도는 CISM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니 할만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3주 차는 평일에 기억나는 활동이 없다. 같이 미국에 교육받으러 오신 분과 교육시간이 조금 달랐는데, 그분 수업과 내 수업의 스케줄이 달라서 그다지 어디를 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찍은 사진이나 올리면서 마무리하겠다.
교육기관에서는 휴게실에 도넛을 항상 비치해둔다.(역시 아-메리칸들이란) 2개가 빠져있는 건 당연히 내가 먹은 거다. 한국의 도넛과 다른 맛이 있진 않다. 뭐; 미국이라 그래서 화성의 밀을 쓰고 이런 건 아니니 말이다. 지구에서 나는 재료로 만든 건 다 비슷한 맛인 거 같다.
하루는 집 앞 식재료 마트에서 고기 한 덩이를 사 왔다. 마리네이트 되어있는 고기였고, 두 사람이 넉넉하게 먹었는데, 6달러밖에 안 하는 혜자 고기였다. 참고로 그 가게는 1주에 한 번은 가고 있는데, 가격이 가장 큰 이유이다. 지도 남기겠다.
평일중 하루는 미국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인 WINGSTOP에서 치킨을 시켜먹었다. 의외로 치킨의 고장인 미국에서 치킨을 먹은 날이 손에 꼽는 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WINGSTOP에 가는 길에 옆집 GAMESTOP이라는 게임가게가 있더라 어떻게 그냥 지나갈 수 있을까 당연히 들어가서 실내 구경을 했다. 대형 전자 매점의 느낌은 당연히 아니었고, 동네 게임가게 느낌이었다. 두근두근 문예부를 찾고 양덕들도 고어물을 좋아하는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번 주 교육해주시는 강사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뉴욕에 갈 계획을 급하게 잡았다. 5주간 워싱턴만 둘어보기엔;; 할 일 대비 기간이 긴 편이기에, 차로 4~5시간 걸리는 뉴욕을 가서 새로운 기분을 느끼려고 한다.
집돌이 성격 어디 안 간다. 주말에 집에 있는 게 이렇게 기쁠 줄이야... 오늘은 빡빡한 일정을 잡지는 않았다. 농구 좋아하는 성격 어디 안 가듯이 미국에 왔으면 한번 세계무대의 농구 경기를 보고 싶었다. 내가 있는 이곳 워싱턴에는WashingTon Wizards라는 순위권의 NBA농구팀이 있다. 오늘 밤 그들의 홈구장에서 또 다른 순위권의 농구팀인 Boston Celtics의 어웨이 경기를 치른다는 이야기를 듣고 가격에 따라 4층자리를 예매했다. 2시에 도착한 스타디움, 시간이 남아서 주변에 있는 스미(또)니언의 국립 초상화 박물관을 둘러보았다.
<국립 초상화 박물관의 모습, 국제 예술관과 너무나도 흡사한 느낌을 받았다.>
박물관에서 나와 다시 스타디움으로 향했다. 벌써 많은 인파가 경기장에 들어서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었다.
-GO WIZARDS!-
경기장 앞, Washington Wizards 굿즈 가게에서 후드티와 모자를 샀다. 역시 가격은 프리미엄이 붙지만, 어쩔 수 없다. 너무 이뻐보였으니...(호에엥 혜자자너)
세계권 선수들의 농구실력은 어마어마했다. 와;;; 이래서 세계적인 경기구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준 높은 퀄리티의 경기를 보여주었다. 코로나19의 두려움도 농구를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열정을 막지는 못한 듯 20,000석이나 되는 경기장은 거의 만석에 이르렀다.(우와... 한자리 가격 곱하면 경기 금액으로만 억 단위 금액이 기본으로 나오더라 나도 정보 보호하지 말고 농구나 할 걸) 리필용 소다를 바깥에서 구매한 후 농구 경기를 직관했다. 응원하는 NBA팀은 없지만, 워싱턴에서 왔고, 모자랑 후드가 Washington Wizards의 것이어서 자연스럽게 Washingtond을 응원했다. Bradley Beal의 3점슛을 직관한 쾌감이란.... 돈이 아깝지 않은 훌륭한 경험이었다. 경기 결과는 2번의 연장 끝에 나온 기적 같은 115 vs 111점
Washington의 승리였다.
16일 차
-HauntHouse-
뜨거웠던 전날 밤의 농구 경기를 뒤로하고 다시 돌아온 숙소, 하룻밤을 달콤하게 보낸 후, 일요일은 느긋하게 보냈다. 충분히 쉬고 CGEIT시험을 준비하면서 7시에 있는 Workhouse Art Gallery의 Halloween Event를 준비했다.
가는길에 Panda Express라는 곳에서 저녁식사를 해결했다. 한국 인사동? 에도 하나 점포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저렴한 가격과 플레이트를 골라먹는 재미가 쏠쏠한 마음에 드는 식당이었다. 아마 교육기관 주변에 있었으면 여기서 점심을 해결했을 것이다.
WorkHouse Art Gallery의 Halloween Event는 숲길을 걷는 30~35분 정도의 야외 공포체험 어트랙션이다. 기억으로는 20~30명 정도의 분장한 인원이 점프 스케어를 위해서 대기하고 있었고, 숲길, 산장, 자갈밭 등 제법 신경 써서 준비했구나라고 느껴질 만한 퀄리티의 어트랙션을 즐길 수 있었다. 위에 보이는 사진대로, 우리가 방문한 31일은 밴드의 특별공연과 드링크 바까지 준비되어있어서 지루할 틈이 없이 재밌게 즐길 수 있었다. 내부 규정 문제로 안쪽의 사진을 찍지는 못했으나, 다음은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직원들의 모습이다. 밤이라서 제대로는 안보였지만, 얼굴 들이미는 사람들을 기억해봐서는 똑같았다.
<할로윈 분장을 한 WorkHouseArt Gallery 직원들, 진짜 저렇게 하셨다. 정신나가는줄 알았다.>
3번 이상 소리를 지르지 않겠다 했는데, 30번 소리를 질렀고, 3번 주저앉았다. 리액션이 크면 이래서 안 좋다. 귀신들이 좋아한다. 자세한 이벤트 정보는 다음을 참고하자. 아직 11월의 이벤트는 남아있다.
금요일, 이곳 버지니아는 비가 추적추적 내리고 있다. 분명 추적추적이었는데, 시간이 가면 갈수록 즉(시) 처(형) 즉(시) 처(형)로 비가 내리더라(필자 DBD 좋아한다.). 결국 침수경보가 일부 지역에 발령이 되었고, 무서운 마음으로 교육기관으로 차를 끌고 나갔다.
마지막 수업은 크게 내용이 없었다.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시험에 임하기 전 마음가짐을 다잡고 들어가는 느낌의 수업이었다. 일찍 끝내주신 이 시대 진정한 교수님 덕분에 11시 30분에 미국에서 2번째로 큰 한인타운, Arlington에 방문할 수 있었다.
Arlington에 온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 번째, 이곳에서 고향의 느낌을 받아보고 싶어서였고, 두 번째, 필자가 좋아하는 충만 치킨이 이곳 Arlington중심부에 있었다. 잔뜻 신 난기분으로 창밖을 바라보았지만, 아직도 비는 세차게 오는 중이었고, Arlington을 걸어본다는 느낌의 금요일 여행 콘셉트는 개나 줘 버렸다.
약간의 기대를 한건 '혹시 한국인이 주문을 받아주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었는데... 아쉽게도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은 아닌 거 같았다.(적어도 캐셔 분과, 셰프분들은 한국말을 사용하지 않으셨다는 말이다.) 식사를 맛있게 마무리하고 기분 좋게 하루를 마무리했다.
이번에 교육을 받은 내용은 IT Governance 관련 ISACA주관 자격인 CGEIT이다. 다량의 알코올 주입으로 뇌의 휘발성이 강해진 요즈음 빨리 시험을 보자는 생각으로 11.1 AM 03:30에 온라인 시험 PSI을 예매했다. 글을 작성하는 11.1일 AM 08:00 시험 결과는 나왔지만. 다른 글에 작성토록 하겠다.
이번에는 따로 일자 구분을 하지 않겠다. 뭐; 교육기관-집을 왔다 갔다 하면서 생활했기에 특이사항이 없다.
-먹거리-
교육받는곳 바로 옆에는 식당 플라자가 있다. 중국집 / 이탈리안 레스토랑 / 일식집이 나란히 붙어있고, 교육기관의 점심시간이 그리 긴 편은 아니어서 애용하고 있다. 특히 Hunan Cafe라는 중국집은 사장님이 부부로 보이시는 진짜 중국 출신 셰프이신데 음식 솜씨가 기가 막히다. 오랜만에 먹어본 아시아 쌀에 감탄하면서 10~13일 차 기간 동안 3번은 방문했던 기억이 난다.
<Hunan Cafe의 음식들과 식당내부, 아맞다 아래 샌드위치는 다른식당이다.>
-CISA취득-
기술적인내용이나 취득 기는 '자격'에 써두겠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바란다. CISA수업은 저번 주 1주일간 진행되었다. 강의 내용이 너무나도 알찼다. 선생님께서 기초부터 알려주셨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코로나19 시기가 좀처럼 심해지면서 대부분의 시험기관은 원격지 시험을 지원한다.(난 몰랐는데, 심지어 CISSP도 지원한다더라 CBT 시험이 아닌 한국 시험만 안 하는 듯) 내가 있는 버지니아는 동부 표준시(EasterTime)를 따르는데, 시험 스케줄을 예매하려 보니 PM 10:45밖에 적당한 시간이 없었다. 시험일은 10.27. 수요일이었고, 집에 돌아오는 길에 마트에 들려 몬스터를 2캔 사서 시험을 준비했다. 시험은 쌩판 처음 보는 문제였지만 여차저차 PASS를 받아내었다. 시험을 종료하고 시계를 보았을 때는 AM 01:00이 지나가고 있었다. 뿌듯하게 하루 마무리하고 다음날 기쁜 마음으로 교육기관에 결과를 알렸다.
몇 가지 시험을 더 보려고 한다. 기대해주시기 바란다. 글이 짧아진다싶으면 독자여러분이 맞다. 매번 신기하다는 이야기를 반복해서 쓸수는 없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