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일자 : '25. 4. 4.
* 준비기간 : '25. 2. 20. ~ '25. 4. 3.(약 6주)
시험 난이도 및 준비
응시 동기
시험 환경 (온라인 vs 현장)
-
오랜만에 시험장의 분위기를 느껴보고 싶었습니다.
-
생각보다 집 근처에 시험장이 있어서 접근성이 좋았습니다.
-
온라인 시험 응시에 필요한 사전 준비(여권 확인, 웹캠으로 방 비추기 등) 절차가 번거롭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시험 진행 방식 및 결과 확인
예비응시자를 위한 조언
-
ISACA QAE(Question, Answer & Explanations) 문제집을 여러 번 반복해서 풀어보세요.
-
위험 관리의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주요 개념 정리 (시험 빈출 키워드)
-
3선 방어 (Three Lines of Defense): 국내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용어일 수 있지만, 위험 관리에 있어 중요한 개념입니다. 1선(운영 부서), 2선(관리/감독 부서), 3선(내부 감사)으로 역할과 책임(R&R)을 명확히 하여 다층적으로 위험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시험에서는 각 방어선의 역할과 기능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
위험 레지스터 (Risk Register): 식별된 위험을 등록하고 추적, 관리하는 종합적인 대장입니다. 위험의 현황과 수준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핵심 도구이며, 아래 설명할 통제 레지스터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통제 레지스터 (Control Register): 식별되고 등록된 위험에 대한 대응책(통제 활동)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대장입니다. 위험 레지스터와의 차이점, 기록되어야 할 내용, 활용 방법을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위험 선호도 / 위험 감내도 (Risk Appetite / Risk Tolerance): 조직이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수용하고자 하는 위험의 수준(Risk Appetite)과 특정 위험에 대해 허용할 수 있는 최대 편차(Risk Tolerance)를 의미합니다. 위험 전문가는 조직의 위험 선호도와 감내도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진(C-level)에게 적절한 조언을 제공해야 합니다.
-
핵심 위험 지표 / 핵심 통제 지표 (KRI / KCI): 주요 성과 지표(KPI)의 개념을 위험(Risk)과 통제(Control) 영역에 적용한 것입니다. 위험 수준이나 통제 효과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준으로, 임계치(Threshold) 설정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위험 관리 단계 (Risk Management Phases): (제가 임의로 붙인 명칭입니다) 위험을 식별(Identification)하고, 분석(Analysis)하고, 평가(Assessment)하며, 이에 대응(Response)하거나 완화(Mitigation)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CRISC 시험에서는 이 모든 단계의 기능, 필요성, 수행 방법 등에 대해 질문합니다.
-
위험 거버넌스 (Risk Governance): 위험을 전사적인 관점에서 관리하기 위한 최상위의 전략적 체계입니다. 모든 비즈니스 의사 결정은 위험을 인지(Risk Awareness)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위험 거버넌스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SP] 공부를 시작하며 -> 합격과 합격수기 (10) | 2023.02.22 |
---|---|
[회계관리1급] 공부를 시작하며 (0) | 2022.10.13 |
[CCSP] 자격증 소개 (2) | 2022.09.08 |
[회계관리2급] 공부를 시작하며 -> 합격과 수기 (0) | 2022.09.08 |
[PMP] 공부를 시작하며 -> 합격과 합격수기 (4) | 2022.06.01 |